Main Idea를 찾으라!
설교자가 설교를 준비할 때 청중의 영적 상황도 고려하고,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기도도 하면서 본문을 결정하게 됩니다. 이렇게 본문을 결정하고 나면 본격적으로 설교를 준비하게 되지요. 이 단계에서 설교자에게 가장 실제적인 과제는 주어진 본문에서 main idea를 찾는 것입니다. 무엇을 설교해야 할지(본문선택), 그리고 어떻게 설교해야 할지(설교준비) 결정은 했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본문선택과 설교준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명제선택] 즉, main idea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본문의 핵심사상이 되면서 설교의 주된 메시지가 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내는 것이 성경적인 설교의 관건이라고 하겠습니다. 이 main idea를 찾는 법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겠습니다.
우선 main idea가 무엇인지 정의를 내려보겠습니다.
"Main idea는 본문이 말하고자 하는 기본 진리를 문장형태로 서술한 것입니다."(a summary statement of the basic truth taught by the passage)
다음은 main idea를 찾고 결정하는 일곱 가지 단계입니다.
첫째, 본문을 여러번 읽고 기도하면서 연구해야 합니다.(관찰, 해석)
둘째, 본문이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찾으려고 애써야 합니다.(예를 들어, 반복되는 구절이나 대비되는 사건들을 찾아보십시오.)
셋째, 본문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본적인 연구는 그때 그곳으로 돌아가서(then and there) 본문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해야 합니다.
넷째, 본문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그때 그곳으로 돌아가서 저자의 시각과 의도를 이해해야 합니다.
다섯째, 본문에서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 하나님이 어떤 일을 행하셨는지에 대해 주목해야 합니다.
여섯째, 본문에 하나님이 직접적으로 나오지 않더라도 하나님의 마음을 찾아보십시오.
일곱째, 하나님의 의도, 하나님의 마음과 관련하여 본문을 한 문장으로 요약해보십시오.
좋은 main idea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그것은 한 문장(one sentence)이어야 합니다.
둘째, 그것은 하나님의 마음(의도)을 잘 드러내주는 것입니다.
셋째, 그것은 본문이 말하려고 하는 바라는 확신을 갖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창12장 10절에서 20절까지의 본문을 예를 들어 보지요.
가나안 땅에 기근이 찾아왔을 때 아브라함은 기근을 피해 애굽으로 내려갔는데 애굽에서 아브라함은 가정의 심각한 위기를 만나게 됩니다. 아브라함은 아내 사라를 누이동생이라고 말함으로써 위기를 자초한 것입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바로의 집에 큰 벌을 내리셨고 결국은 아브라함은 애굽에서 거부가 되어 다시 가나안 땅으로 되돌아오게 됩니다.
우선 전후 문맥을 보아야겠지요.
본문 이전에 상황은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부르셨고 복이 되게 할 것이라고 약속하시면서 지시할 땅으로 가라고 하십니다. 아브라함은 믿음으로 순종하여 가나안 땅에 도착했고, 하나님은 그땅을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줄 것이라고 약속하십니다. 이것이 1절에서 9절까지의 문맥입니다. 10절에서 20절 이후의 상황은 우여곡절 끝에 아브라함의 가정은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받게 되었는데 거부가 되어서 애굽에서 가나안으로 다시 되돌아는 것입니다(창13:1절 참조).
main idea를 찾기 위해 본문을 여러번 읽으며 충분히 관찰하고 해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main idea를 찾을 때는 해석이 필요합니다. 해석은 하나님과 관련하여 본문에 질문을 던지는 행위이지요.
이렇게 질문해보십시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이 가나안 땅에 이르렀을 때에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고 약속하셨는데 왜 그 땅에 기근이 찾아오도록 허락하셨을까요?
아브라함이 기근을 피해 애굽에 내려가는데도 가지 말라고 막지 않으시고 내버려 두셨을까요?
아브라함이 아내를 아내라고 말하지 못한 것은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약해서였을까요?
바로왕은 인간적으로 아무 잘못한 것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왜 바로에게 재앙을 내리셨을까요?
아브라함이 경험한 가정의 위기에서 배운 하나님은 어떤 하나님일까요?
하나님은 이 사건을 통해 아브라함에게 무엇을 보여주시려고 하셨을까요?
이렇게 하나님과 관련하여 본문에 질문을 던지고 답하는 과정이 해석입니다.
제가 흑인 목회자들에게 이 본문에서 main idea가 무엇인지 물어보면 대부분 "하나님의 보호하심"God's protection이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좋은 main idea가 아니라고 이야기해줍니다. 왜냐면 그것은 '문장'이 아니고, 하나님의 마음도 잘 드러내주고 있지 않으며, 본문이 말하려고 하는 것인지 확신이 들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면 누군가 "하나님이 부르신 자를 하나님이 보호하신다"라고 답을 합니다. 저는 거기서 좀 더 다듬어서 하나님이 마음이 드러나게 문장을 만들어보라고 합니다. 제가 마음에 든다고 최종 결정한 main idea는 이것이었습니다. "하나님은 당신이 부르신 자에게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것을 보여주시고 싶어하셨다" 어떻습니까? 이것은 한 문장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하나님의 마음(의도)을 잘 드러내주고 있는 문장입니다. 그리고 본문의 의도와도 일치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저자인 모세의 의도와도 일치합니다. 애굽에서 구원받아 광야생활을 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모세는 "여러분의 조상 아브라함도 애굽에 내려와 큰 위기를 겪으며 고생했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보호하심을 받았다"고 말하려는 것입니다. 애굽을 탈출하면서 이스라엘 백성은 부자들이 되었듯이 아브라함 역시 이스라엘이 경험한 것과 동일한 은혜를 오래 전에 경험했다는 것을 알 때에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여정이 새로운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와같이 main idea를 결정하게 되면 이미 설교준비는 반이나 한 것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이와같이 main idea를 결정하게 되면 이것은 설교자의 마음에 설교하고 싶은 '불'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제부터는 이 main idea를 중심으로 설교를 준비하는 것입니다. 설교준비란 다름 아니라 이 maid idea를 어떤 단어로 반복하여 강조할 것인지keyword, 어떻게 재진술하며re-state, 설명하며explain, 예를 들며illustrate, 보완보충설명하며support, 증명하며prove, 확장확대하며amplify, 발전시키며develop, 다른 성경과 연결시키며connect, 적용하며apply, 하나님의 의를 드러내며reveal the righteousness of God, 예수 그리스도를 높이며exalt the Christ, 복음을 영화롭게 할 것인지glorify the Gospel 연구하는 것이 설교준비인 것입니다. 그러니까 main idea를 찾아서 결정짓는 작업은 본문연구의 마지막 종착역이며 동시에 설교준비를 위한 출발역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main idea를 찾는 것이 쉽지 않다면 여기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그것은 본문의 범위를 좁히는 것입니다. 역사서의 경우, 설화체narrative text의 경우는 사건단위별, 혹은 기승전결의 흐름이 있는 이야기 단위별로 설교본문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서신서와 같은 강화체discourse text의 경우는 특히 본문의 범위를 좁히는 것이 main idea를 찾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러니까 설화체의 경우 기승전결의 흐름이 있는 사건단위, 혹은 이야기단위로 본문의 범위를 정하고, 강화체의 경우 1, 2개의 절로 구성된 문장으로 된 본문을 설교본문으로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와같이 main idea를 찾고 결정했으면 다음의 10가지 순서로 설교를 준비합니다.
(반드시 설교의 흐름을 유념하면서 원고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억을 믿지 말고 기록을 믿어야 합니다.)
1) key word를 결정할 것
2) 해석하기 위해 던진 여러 질문들을 나열할 것
3) main idea를 보완하는 세부적인 사항들을 명제의 형태로 나열할 것
4) 다른 성경에서 비슷한 사건, 구절들을 찾아 연결할 것
5) 예화를 찾을 것
6) 기승전결의 순서대로 자료들을 나열할 것
7) 교리적인 진술을 클라이막스 부분에 배치할 것(하나님이 어떤 분이시며, 어떤 일을 행하셨는가)
8)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연결할 것
9) 삶에 적용점을 제시할 것
10) 경구형태의 짧은 문장으로 결론을 마무리할 것
main idea를 찾고 결정하는 것은 본문연구의 마지막이요, 설교연구의 출발점입니다!!
다음에는 key word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김광락 선교사 올림.
'설교 클리닉' 카테고리의 다른 글
illustration을 활용하라 (0) | 2012.04.16 |
---|---|
Key word를 사용하라! (0) | 2012.04.09 |
설교보다 중요한 것은 설교자의 정체성이다! (0) | 2012.04.08 |
설교보다 중요한 것은 설교자의 자질이다! (0) | 2012.04.08 |
강단에서 딴소리하는 것은 죄악이다! (0) | 201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