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 클리닉

Key word를 사용하라!

등불지기 2012. 4. 9. 05:16

 

 

Key Word를 사용하라!

 

많은 설교자들이 혼동하는 것이 main idea와 key point 그리고 key word에 관해서 입니다.

 

main idea는 본문의 중심사상, 핵심 메시지, 하나님과 하나님이 행하신 일, 하나님의 마음과 의도를 드러내는 문장입니다.

key point는 main idea를 보완하는 짧은 문장으로서 본문에서 나와야 합니다.

key word는 반드시 본문에서 반드시 찾을 필요는 없으며, 설교 내내 main idea를 지지하고 보완하는 핵심단어입니다.

 

많은 설교자들이 key word를 작은 대지로 이해하는데 사실은 그것은 좁은 의미의 key word 개념이니다.

 

key point는 쉬운 말로 "소제목" 혹은 "대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key point는 설교자에 따라 다르지만 1개에서 4개까지 보통 정합니다.

전통적으로 3대지 설교를 선호합니다. 흔히들 하는 3대지 설교를 보면 대지들points 사이에 연관성이 별로 없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명심해야 할 것은 서로 연관성이 별로 없는 대지를 3-4개 사용하는 것보다 1개의 대지가 훨씬 효과적이란 사실입니다.

만약 3대지나 4대지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지간의 연관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첫째 대지를 '하나님은 사랑이시다' 둘째 대지를 '하나님은 거룩하시다' 셋째 대지를 '하나님은 전능하시다'라고 한다면 각각의 대지가 어떻게 서로 연관이 되는지 언뜻 이해가 가지 않지요.

 

그러나 첫째, 하나님이 아신 자들이 있다. 둘째, 하나님이 아신 자들을 부르신다. 셋째, 하나님이 부르신 자를 의롭다고 선언하신다. 넷째, 하나님이 의롭다고 하신 자들을 영화롭게 하신다. 이렇게 하면 각각의 대지가 서로 논리적 순서를 따라 배열이 되어 있음을 잘 알 수 있지요.

 

각각의 key point(소대지)는 main idea를 지지하는supporting 짧은 문장입니다.

각각의 key point를 나열할 때는 시간순서, 논리적 순서, 혹은 중요도의 순서 등으로 배열하도록 합니다.

영어설교할 경우는 같은 철자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배열 방법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First, do not delute God's word. Second, do not distort God's word. Third, do not deviate from God's word.라고 한다면 "D"로 시작하는 key point 세 가지를 잘 나열한 것입니다. 이렇게 key point를 배열하면 청중이 잘 기억하도록 도울 것입니다. 

만약 각각의 key point 간에 어떤 연관성이 희박하다고 여긴다면 과감하게 생략해서 1개의 key point만 갖는 것도 좋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4번 교재 55쪽에 나오는 설교원고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영어설교원고로서는 매우 훌륭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첫째 대지와 둘째 대지가 A로 시작하며, 각각의 대지는 또한 C, 그리고 T로 시작합니다. 그러나 한국어 설교의 경우 쉽지 않을 것입니다.)

 

Text: Gen.3:1-7

Introduction: How does Satan tempt us to sin? How do we resist temptation?

Main idea: Satan tempts us to sin by attacking the truth of God's word and appealing to our natural lusts.

Content: Satan deceives us into disobeying God's word by

 

I. Attacking the truth of God's Word (Gen.3:1-5)

   A. Challenge to God's Word (Gen.3:1)

   B. Contradiction of God's Word(Gen.3:4)

   C. Corruption of God's Word(Gen.3:5)

 

II. Appealing to man's natural lusts (Gen.3:6)

   A. Temptation of bodily cravings

   B. Temptation of desire

   C. Temptation of pride

 

III. We resist falling into temptation by standing on the truth of God's Word.

 

Conclusion: We must stand firm by faith on the truth of God's Word to resist Satan's temptations. Will we fall or will we stand? The choice is ours!

 

이와같이 key point가 main idea를 보완하고 지지하는 또 다른 짧은 문장이라고 한다면

key word는 실제로 설교할 때 설교자가 늘 사용하는 '단어'를 가리킵니다.

 

많은 설교자들이 key point를 잘 만들지만 key word를 활용하는 것에는 약한 것을 봅니다.

key word는 설교원고에는 잘 나타나 있지 않는 단어이지만 설교자가 설교할 때 늘 반복하는 '특정단어'입니다.

 

key point는 좋은데, key word가 약한 경우 회중이 설교를 듣고 나서 '너무 많은 교훈을 들었는데 딱히 기억에 남는 단어'가 없다고 느끼게 됩니다. key word란 설교자가 설교하는 동안 자주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명설교자의 설교문을 읽어보거나 들어볼 수 있다면 key word를 잘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무리 많은 시간 동안 본문연구를 하고 설교를 준비했다고 할지라도 key word를 활용하지 못하면 임팩트가 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설교자가 설교를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준비 중에 하나가 설교할 동안 수 십 수 백 번 의도적으로 반복할 '단어'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에베소서 1장 17절에서 19절까지 본문을 볼까요?

 

본문; 엡1:17-19

제목: 교회를 향한 사도바울의 중보기도

main idea: 하나님은 우리가 그분과 그분이 주신 축복에 대해서 더 많이 알기를 원하신다.

key word: "감"sense

서론: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달라고 기도한다. 그러나 우리는 더 많이 알기를 위해 기도해야 한다.

본론: 에베소 교회를 향한 사도바울의 중보기도는 '감'이었다.

        (에베소 교회설립배경, 에베소서 기록 목적, 전후 문맥에 대한 고찰, 사도 바울의 심정...)

   1. 하나님을 더 알게 하소서(17): 친밀감을 위한 기도

       1) 하나님을 아는 것이란?

       2) 하나님을 아는 것이 왜 중요한가?

   2. 부르심의 소망이 무엇인지 알게 하소서(18): 소명감을 위한 기도

       1) 부르심의 소망이 무엇인가?

       2) 부르심의 소망을 왜 알아야 하는가?

   3. 기업의 영광의 풍성함을 알게 하소서(18): 자존감을 위한 기도

       1) 기업의 영광이 무엇인가?

       2) 기업의 영광을 왜 알아야 하는가?

   4. 베푸신 능력의 크기를 알게 하소서(19): 안정감을 위한 기도

       1)믿는 우리에게 베푸신 능력이란 어떤 것인가?

       2)그 능력의 크심을 왜 알아야 하는가?

결론: 건강한 그리스도인은 축복을 더 받으려고 애쓰는 사람이 아니라 이미 받은 축복을 더 많이 알아가는 사람이다.

 

위의 설교원고를 보면 네 개의 key point를 사용하고 있는데 각각의 key point는 본문에서 나온 것이며,

설교자는 실제 설교를 행할 때 '감'sense이란 단어를 수없이 반복함으로써 메시지를 선명하게 각인시키려고 시도함을 볼 수 있다.

이와같이 좋은 설교는 '명확한 main idea'와 함께 '좋은 key point'를 가지며, 실제로 설교할 때는 'key word'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려는 설교자의 의도가 잘 나타나 있어야 합니다.

 

김광락 선교사 올림.